잠이 부족한 사회[최하란의 No Woman No Cry] 다이어트 vs 건강(중) ※ 여성을 위한 자기방어 훈련과 몸에 관한 칼럼 ‘No Woman No Cry’가 연재됩니다. 최하란 씨는 스쿨오브무브먼트 대표이자, 호신술의 하나인 크라브마가 지도자입니다. 페미니스트저널 바로가기 영유아부터 성인까지…수면 부족 사회 한국인의 평균 수면 시간은 7시간 41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꼴찌다. 프랑스는 8시간 50분, 미국은 8시간 38분, OECD 평균은 8시간 22분이다.(OECD, 2016) 아시아 태평양 지역 15개국 중에서도 우리가 최하위다.(AIA생명, 2016) 한국 성인들은 평균 6시간 24분을 잔다.(한국갤럽, 2016) 청소년들도 잠이 부족하다. 청소년기 적정 수면 시간은 8~1..
“후두암 주세요” 금연광고에 대한 단상 정부가 질병을 다루는 방식 ※ 질병을 어떻게 만나고 해석할 지 다각도로 상상하고 이야기함으로써 질병을 관통하는 지혜와 힘을 찾아가는 연재입니다. 글에 등장하는 사례는 동의를 거쳐 인용하였습니다. -편집자 주 “흡연은 질병입니다. 치료는 금연입니다.”“당신이 스스로 구입한 질병, 후두암 주세요.” 처음 저 광고를 봤을 땐 놀랐다.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저런 광고를 만든 것일까? 내가 보건복지부 담당자라면 국민의 보건과 복지를 위해 금지시키고 싶은 광고다. 그런데 심지어 이런 광고를 만든 게 보건복지부라니! 지하철에서 저 광고를 볼 때마다 여러 주제의 감정을 겪는다. ▶ 지하철 안 금연광고. (보건복지부 제작) ⓒ 촬영: 반다 # 소외감 두 줄의 문장 속에서 질병을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