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 자본주의와 가부장제 ‘바깥’으로 나아가는 힘『여자떼 공포, 젠더 어펙트』 권명아의 책을 읽고 페미니즘 관점으로 한국 근현대사와 문학/문화를 연구하는 권명아 동아대 한국어문학과 교수의 책 『여자떼 공포, 젠더 어펙트 - 부대낌과 상호작용의 정치』에 대한 미술작가 이수영씨 서평을 싣습니다. 페미니스트 저널 바로가기 재생산 노동력의 이름 ‘여성’ 향단이, 함안댁, 아씨, 중전마마를 모두 한데 묶을 수 있는 새로운 인종, ‘여성’은 1900년대에 만들어졌다. 함안댁이 생물학적 특징을 빌미 삼아 감히 마님과 동급의 사회적 신체가 될 수 있었던 것은, 봉건 신분제도가 무너지고 근대 자본주의 사회로 들어서며 돌쇠와 도련님과 최참판 모두가 가문과 농토에서 놓여 난 그냥 남자가 되어야 했기 때문이다. 남성이 ..
죽음의 외주화…‘고문실’이 되고 있는 일터일레인 스캐리 作 의 사유를 확장하기(2) 고통, 고문, 전쟁, 언어, 창조성에 관한 독창적인 사유를 통해 인간의 문명을 고찰한 일레인 스캐리(하버드대학교 영문학과 교수)의 (1985) 한국어판이 나왔습니다. 의 저자이자 생애문화연구소 ‘옥희살롱’ 연구활동가 김영옥 님이 스캐리의 사유를 안내하고, 더 깊이 확장하는 글을 4편 연재합니다. 페미니스트저널 바로가기 고문과 자백 인류의 ‘창조하기’와 그것을 역행시키는 ‘파괴하기’에 관한 스캐리의 역사적 검증은 고문에서 가장 격하고 역한 정동을 불러일으킨다. 몸에 가해지는 의도되고 계획된 고통으로서의 고문. 고문은 한 사람의 자아와 언어, 세계를 철저하게 부숴버리겠다고, 차갑고 냉정하게, ‘휘파람을 불면서’ 장담하고 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