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만의 방’과 ‘모두를 위한 도시’가 필요해 무엇이 우리를 안전하게 하는가 편집자 주: 다양한 시각으로 ‘주거’의 문제를 조명하는 기획 연재는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아 보도됩니다. [페미니스트 저널 일다] ‘여성안심’ 주택과 서비스에 대한 의문 현재 중앙정부와 각 지방자치단체는 다양한 여성 안심 정책을 펴고 있다. 다양한 수단과 종류가 있는데, 크게 세 가지로 압축할 수 있다. 첫째, 귀갓길에 발생하는 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서비스다. 안전 취약지역을 경찰이 집중적으로 순찰하거나, 여성이 신청할 경우 노란 조끼를 입은 스카우트(대부분 중년 여성)가 지하철역 또는 버스 정류장에서부터 집 앞까지 동행한다. 범죄예방 환경디자인 기법을 적용해 거리환경을 개선하는 사업도 여기에 해당한다. 여성..
돈없고 집없고 가족없는 여성들의 ‘함께/살기’ 전략2019 페미니스트 ACTion! ⑤비혼여성 함께/살기 반달 ※ 혐오와 차별을 멈추라는 여성들의 목소리가 온라인에서 결집되어 거리에서도 울려퍼지는 시대, 지금 곳곳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되는 새로운 페미니스트들의 액션을 기록합니다. 이 기획은 한국여성재단 성평등사회조성사업 지원을 받아 진행됩니다. 페미니스트 저널 바로가기 비혼여성들이 모여 ‘어떻게 살지’를 고민하다 비혼여성 함께/살기 은 2018년 2월 2일, 공간을 소유하지 못한 청년들에게 돈을 받고 공간을 대여해주는 허술한 공유 공간에서 처음 모임을 가졌다. 막연하게 ‘비혼여성 공동체를 만들어보자’는 제안을 듣고 찾아온 열 명의 친구, 지인들이 모였다. 우리는 각자 비혼여성으로 살아가면서 처하게 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