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의 ‘이주여성’ 위치에서 난민을 공부하다 연재 후기① 이주여성인 내가 독일의 여성난민과 만나는 방법 난민 인구가 141만 명(2017년 말 기준, 유엔난민기구 발표)이 넘는 독일에 살면서, ‘난민’은 사회 문제나 뉴스거리이기 이전에 일상적으로 마주치는 존재다. 독일 전역의 주.시.군 행정구역에서 인구 수에 비례해 난민을 분산 수용했고, 내가 2014년부터 살고 있는 프라이부르크시(남부 바덴뷔르템베르크 주 소속, 인구 21만여 명)에는 2천888명의 난민(2018년 기준)이 있다. 이들은 학교나 직장, 슈퍼마켓과 공원, 옆집이나 병원 같은 일상적인 공간에서 만날 수 있는 이웃이다. 따라서 난민 문제에 대해 잘 알고 싶고 또 관련 사회 공론장에 참여하고 싶다는 나의 욕구는 자연스러운 것이었다. 다만 독일..
내 이름은 “키무라 별”입니다 어머니의 나라, 그대 한국에게 (키무라 별-나탈리 르무안느) ※ 한국은 오랜 기간 입양을 통해 아동을 해외로 내보낸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해외입양 이슈는 여성인권과 아동권, 빈곤과 차별, 인종과 이주의 문제가 중첩되어 있습니다. 는 각기 다른 사회에서 성장해 모국을 찾아온 해외입양인 여성들의 목소리를 통해, 이들의 경험과 한국 사회에 주는 메시지를 듣고자 합니다. 이 연재는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아 보도합니다. 페미니스트저널 바로가기 들어가는 말: 몬트리올에서 모국에 보내는 편지 비-전형적인(atypik) 해외(abroad) 입양된(adopted) 무성(a-gendered)의 아시아인(asian) 예술가(artist)이자 활동가(activist) 및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