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의 통증을 무시해온 ‘마음’ 몸을 인식하다② ※ , 을 집필한 김혜련 작가의 새 연재가 시작됩니다. 여자가 쓰는 일상의 이야기, 삶의 근원적 의미를 찾는 여정과 깨달음, 즐거움에 대한 칼럼입니다. Feminist Journal ILDA “모두 병들었는데 아무도 아프지 않았다.” -이성복의 에서 울화, 화병…내 몸을 설명하는 말들 ▶ 자화상. 2002년 예술치료에서 그린 몸의 이미지. 내 몸이 다 죽어가는데, 아르테미스 원형의 여전사의 몸을 그렸다. ⓒ김혜련 “참… 둔치에요, 둔치! 몸이 이 정도까지 되려면 아파도 아주 많이 아팠을 텐데, 그걸 못 느끼다니…” 몸이 아프면 주변에서 많은 것을 권한다. 자신들이 효과를 봤거나 용하다는 곳을 소개한다. 한의원이나 자연치료나 통합치료 등등… 내가 찾아간 암..
‘내 가슴에서 나온 노래’ 할머니와 시5. 어르신 시작(詩作) 교실 (박계해) ※ 노년여성들이 살아온 생의 이야기와 다양한 경험이 역사 속에 그냥 묻히지 않고 사회와 소통하며 다음 세대와 교류할 수 있도록, 노년여성을 만나 인터뷰 작업을 해 온 여성들의 기록을 10회에 걸쳐 연재합니다. 여성주의 저널 일다 한글 쓰기도 어려운 어르신들에게 시를 가르치다? 인근 보건소에서 주관하는 어르신 시작(詩作) 교실에 강의를 나가는 중이다. 실은 강의 요청을 받고 얼떨결에 동의서에 사인을 하고는 곧 나의 경솔함을 자책했다. 장르 불문하고 내게 저서(2011 , 2015 )가 있다는 이유만으로 요청을 한 그들이나, 세상에 내 놓은 시 한 수 없이 수업에 응한 나는 어르신들이 시에 문외한이라는 생각을 무의식 속에 깔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