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 담아낸 의료계 차별의 현장 미국에서 가장 오랜 기간 방영되고 있는 의학드라마 (Grey’s Anatomy)엔 베일리라는 40대 흑인 여성 외과의사가 나온다. 14시즌에서 베일리는 출근길에 몸의 이상을 느끼고 (자신의 직장이 아닌 다른) 병원을 방문한다. 응급실에 들어가 심장발작을 일으킨 것 같다고 이야기하지만 진료를 담당한 남성 의사는 심전도에 문제가 없다고 한다. 베일리는 다른 의사를 요청하지만, 백인 남성인 그 또한 베일리의 의견을 무시하고 최근에 스트레스 받은 일이 많은 거 아니냐, 심적으로 힘든 거 아니냐고 할 뿐이다. 베일리는 자신이 신체적 증상을 호소하고 있음에도 감정조절을 못하고 있는 걸로 판단하는 것에 화를 내며, 지금 이 증상은 불안장애가 아니라 심장발작이라 재차 강조한다. 그러면..
아픈 몸들이 많아도 ‘질병 서사’가 적은 이유⑦ 아픈 몸들의 낭독극을 준비하며 적지 않은 이들이 질병 경험을 숨긴 채 살아간다. 사회의 모순적 태도 때문이다. 사람들은 가난할수록 아프고, 고용이 불안정할수록 아프다는 건강 불평등 현실에 고개를 끄덕인다. 동시에 주변에서 누군가 암 진단을 받았다고 하면 ‘짜게 먹어서’ ‘술을 많이 마셔서’라며 개인의 생활 습관을 손쉽게 원인으로 ‘진단’한다. 질병을 개인의 문제로 환원하는 ‘질병의 개인화’가 내면화된 사회이기 때문이다. 신자유주의 시대가 건강을 스펙으로 만들면서, 아픈 몸을 자기관리에 실패한 사람의 몸으로 만든 결과이기도 하다. 아픈 몸들은 아직도 가시화되지 않았다 한국은 강도 높은 노동, 고도의 경쟁, 오염된 생태계, 불안정 고용, 차별과 혐오 속에서 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