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로 뛴’ 역사 쓰기, 사할린을 읽다 최상구의 책 (최상구, 미디어 일다, 2015)에 대한 권혁태 성공회대 일본학과 교수의 서평입니다. -편집자 주 2013년 8월, 일본 홋카이도 북단에 자리한 왓카나이(稚内)에 섰다. 인구 4만 명에도 못 미치는 이 작은 마을을 찾은 까닭은 두 가지였다. 하나는 1945년 8월 제2차 세계대전 말기, 소련군이 밀고 들어오는 사할린에서 독극물을 먹고 자살한 우체국 직원 일본인 소녀 9명을 기리기 위해 1963년에 건립한 ‘9인의 소녀상’을 보기 위해서였다. 2012년 8월에 “사할린 집단 자살의 비밀”( 제926호)이라는 짧은 에세이를 통해 논란거리 많은 이 ‘소녀상’에 대해서 언급한 적이 있는 나로서는, 내 눈으로 소녀상을 직접 보고 느끼고 싶었다. 둘째는 ‘국경’..
‘우리는 재일동포에 대해 아는 것이 없습니다’ ▣ 이영주 평소 입버릇처럼 하는 말이 있다. “내가 하는 정치적 행위는 ‘억울함’에서 비롯한다. 하나는 ‘여자’로 나고 자라면서 생긴 억울함이고, 다른 하나는 ‘분단’된 나라에서 나고 자라면서 생긴 억울함이다.” 이 사회에서 여성으로 살아가며 느낀 억울함에 대해서는 이 글에서 언급하지 않겠다. 분단이 준 억울함이 있다고 하면, 대부분 사람들은 “부모님이 실향민이냐? 이산가족이냐?” 질문한다. 하지만 나의 부모는 그 선대의 선대 때부터 충청도에서 나고 자란 충청도 토박이다. 자세히 알아보지는 않았지만 사돈의 팔촌을 뒤져도 북에 살고 있는 가족은 찾기 어려울 것이다. 분단이 남긴 상처 ‘진영 논리와 편 가르기’ ▲ 지구촌동포연대(KIN)에서 펴낸 내가 분단의 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