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남성과 결혼한 식민지 조선여성, 나의 외할머니[페미니즘으로 보는 식민/분단/이주] 조선인이자 일본인 김연순의 여정(상) ※ 일다는 식민-전쟁-분단의 역사와 구조를 여성주의 시각으로 재구성하는 기획기사를 연재합니다. 다양한 페미니스트 연구자들이 식민지배와 내전, 휴전으로 이어진 한국 현대사가 낳은 ‘여성의 이동’, 군 성폭력과 여성동원 등의 젠더 이슈를 제기하고, 사회구조와 여성 주체들 사이의 긴장을 드러내며 전쟁/분단/이주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합니다. 페미니스트 저널 바로가기 “어제 할머니 꿈꿨어. 소녀였던 시절의 모습이었는데, 땋은 머리에 빨간 댕기를 달고 강가에서 재밌게 놀고 계셨어.” 외할머니의 유골 몇 조각을 청풍호수 근처 강으로 산골한 다음 날 아침, 엄마의 첫마디다. 외할머니 생가..
‘가해의 역사를 기록하지 않은 교과서에 두려움 느꼈다’식민지역사박물관 개관에 참여한 일본인 노기 가오리 작년 8월, 서울에 새로운 박물관이 탄생했다. 일본의 조선 침략과 약탈, 친일파의 실상, 항일독립투쟁의 역사를 기록하고 전시하는 식민지역사박물관(historymuseum.or.kr)이다. 사단법인 민족문제연구소가 중심이 되어, 한일 양국 시민들의 기부와 기증 자료를 통해 문을 열었다. “(공적 지원 없이) 민간의 힘만으로 개관했어요!” 열정적으로 이야기하는 노기 가오리 씨는 박물관 기획 단계부터 참여한 일본인 중 한 명이다. 일본에서 한국의 식민지역사박물관까지 찾아온 우리를 노기 씨가 안내해주었다. ▲ “박물관의 강력한 힘을 믿어요.” 민족문제연구소 전임연구원 노기 가오리 씨. ©촬영: 시미즈 사츠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