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주거의 재구성> 나에게 집은 안전하지도, 편하지도 않았다


다양한 시각으로 ‘주거’의 문제를 조명하는 <주거의 재구성> 기획 연재는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아 보도됩니다.  페미니스트 저널 <일다> 바로가기


처음 집을 나온 것은 2014년 가을이었다. 당시 나는 18살, 학교에 다니지 않는 탈학교 청소년이었다.


머리부터 발끝까지 통제하는 학교를 벗어나다


16살, 중학교 3학년 때 머리부터 발끝까지 통제하는 학교가 답답해서 숨이 막혔다. 더는 못 견디겠다 싶었을 때 나는 학교를 그만두겠다고 선언했다. 부모와 몇 달간 갈등을 겪은 후 학교를 그만둘 수 있었다. 이후 나는 도서관에서 혼자 공부하면서 검정고시 준비를 했고, 합격 기준이 낮아 통과하기 그다지 어렵지 않던 고등학교 졸업 학력 검정고시에 합격했다.


당시 도서관에서 공부하다가 지겨워지면 쉬는 시간에 틈틈이 책을 읽었는데, 그때 처음 ‘학생 인권’이나 ‘청소년 인권’에 대한 책을 찾아 읽었다. 검정고시에 합격한 이후, 나는 책에서 읽은 청소년 인권단체 모임에 처음 찾아갔다.


이후 청소년 인권단체에서 활동을 시작하면서 처음으로 그동안의 답답함을 설명할 수 있는 언어를 얻었다. 청소년이라는 이유로 가해지던 수많은 통제와 차별이 사실은 사회적인 문제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동안 내 주변에는 나와 비슷한 문제의식을 가진 사람이 한 명도 없었는데, 처음으로 내가 가졌던 분노와 답답함에 공감하는 이들을 만나면서 나는 새로운 세계를 맞았다.


청소년 인권을 외치며 거리캠페인을 하기 위해 만들었던 피켓. (출처: 청소년인권행동 아수나로)


나는 아는 것은 많지 않았지만, 지금까지 내가 해봤던 그 어떤 것보다도 열심히 단체 활동에 참여했다. 처음 거리에서 청소년 인권을 외치며 캠페인을 할 때, 그 해방감이란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것이었다.


활동을 하며 저녁에 회의가 자주 잡혔다. 활동가들 중에는 비청소년도 있었지만 청소년도 많았다. 학교 다니는 청소년들을 고려해 평일 저녁이나 주말에 주로 모임을 했다. 캠페인이나 기자회견을 준비하며 동료들과 24시간 영업하는 카페에서 늦게까지 실무를 처리하는 날들이 생겼다. 자연히 집에 늦게 들어가는 날들이 많아졌는데, 부모는 집에 늦게 들어오는 나를 탐탁지 않게 여겼다. ‘여자애가 늦게까지 돌아다니면 위험하다’는 것이 그 이유였다.


내가 청소년 인권단체 모임에 참여하는 것을 알게 된 이후에는 모임에 남성은 없는지 물어보면서 걱정을 표하기도 했고, 내가 활동하는 단체에 전교조 등 특정 배후세력이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했다. 나는 부모가 이런 마음을 표현할 때마다 내 삶이니 내가 알아서 할 거라고 항변했다. 갈등의 골이 깊어진 어느 날, 부모는 10시 통금을 내세우며 지키지 않으면 용돈을 주지 않겠다고 했다.


청소년 인권 활동을 하면서 부당함을 인식하는 감각을 키워나갔던 나는 부모의 협박이 치졸하게 느껴졌다. 청소년인 나는 일을 하고 싶어도 법적으로 부모 동의가 필요하고, 아르바이트를 구해도 주휴수당은커녕 최저시급도 제대로 지급하지 않는 고용주들이 많았다. 우리 부모는 내가 알바를 한다고 하면 허락해줄 리가 없었다. 그런 나에게 얼마 안 되는 용돈으로 협박하다니.


나는 아주 어릴 적부터 명절 때마다 받았던 세뱃돈을 쓰지 않고 고이 모아둔 상자를 열었다. 돈이 쌓이는 맛에 꾹 참고 열지 않았던 상자 안에는 백만 원이 있었다. 나는 더이상 집에서 지내고 싶지 않았다. 학교가 내 숨을 옥죄었던 것처럼, 나는 집에서 지내는 것이 너무 답답했다. 고민을 하다가 일단 보증금 없이 단기간으로 지낼 수 있는 고시원에 가기로 했다. (계속됩니다)  페미니스트 저널 <일다> 바로가기



일다 기사를 네이버 메인에서 보세요!  일다 뉴스편집판 구독 신청!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   2024/09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