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내가 살고 싶은 집 그 집은 나를 위한 집이 아냐 ※ 여성들의 이야기를 듣고 읽고 쓰는 사람, 의 저자 안미선의 연재 칼럼입니다. 사람들이 그냥 믿는 게 있다. 집은 행복한 곳이고 가족들은 서로 사랑한다는 것이다. 결혼과 연애는 아름다운 것이고 모든 이야기의 좋은 결말이라는 것이다. 또 있다. 청소년들은 학교에 다니는 아이들이고, 아직 일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청소년들은 집에 있어야 하며 가족이 보호한다는 것이다. 그것은 사실 진술이라기보다는 가치 진술인데, 그 가치는 억압적인 통념이 된다. 현실의 실제 삶이 드러날 수 없기 때문이다. 집이 행복하지 않고 가족들은 갈등하며, 살기 위해 일해야 하고, 집을 벗어나야 생존할 수 있는 청소년들. 그들의 이야기는 불편한 것으로 외면당해 버리기 일쑤이..
[박푸른들의 사진 에세이] 어디에 살까 궁핍한 경제력에도 불구하고 남과 살기에는 다소 모난 성격 탓에 서울에서 산 2년 동안 이사만 네 번째이다. 시간은 가고 짐은 늘어 거듭되는 이사가 부담스럽지만 여전히 더 안락한 집을 꿈꾼다. 요즘은 바깥에서 바스락거리는 소리가 들려도 무섭지 않고 집 주인과 부딪칠 일이 적은 아파트가 부럽다. 하지만 살고 싶은 집과 마을은 따로 있다. ▲ 논들은 동생 푸른산과 푸른내에게 초여름이면 수영장이 되고, 겨울이면 스케이트장이 되었다. 넓게 이어진 논들 사이에 덜렁 있던 두 집 중 한 집이던 그 집은 아빠가 어릴 적 논을 메우고 지었다는데, 메운 흙이 내려앉아서 논들과 높이가 같아져버렸다. 그래서 논에 물을 댈 때면 개구리 소리가 집을 크게 감돌았다. 그 논들은 동생 푸른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