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탈가정 청소년의 “내가 살고 싶은 집”② 10대 초반이나 그 이전에 ‘나는 나중에 커서 어떤 집에서 살까?’를 생각하면 막연히 흰색의 커다란 단독주택과 잔디 깔린 정원, 그리고 강아지가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집을 나온 이후 내가 꿈꿨던 집은 단지 ‘답답하지 않은 집’이었다. 나의 사생활이 보장되며, 누구에게도 허락받을 필요 없이 내가 원하는 것들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곳 말이다. 원하는 시간에 드나들 수 있고, 원하는 옷을 입고, 원하는 시간에 잠들고 깨어나는 것. 지금의 내가 생각했을 때 너무나 사소한 일상이지만 청소년인 나에게는 당연하지 않은 것들이었다. 나는 그 자유를 찾아 집을 나왔다. 집을 나왔을 때부터 지금까지 간직하고 있는 파란색 잠바. 그때의 추웠던 겨울을 떠올리게 한다..
나에게 집은 안전하지도, 편하지도 않았다 다양한 시각으로 ‘주거’의 문제를 조명하는 기획 연재는 한국언론진흥재단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아 보도됩니다. 페미니스트 저널 바로가기 처음 집을 나온 것은 2014년 가을이었다. 당시 나는 18살, 학교에 다니지 않는 탈학교 청소년이었다. 머리부터 발끝까지 통제하는 학교를 벗어나다 16살, 중학교 3학년 때 머리부터 발끝까지 통제하는 학교가 답답해서 숨이 막혔다. 더는 못 견디겠다 싶었을 때 나는 학교를 그만두겠다고 선언했다. 부모와 몇 달간 갈등을 겪은 후 학교를 그만둘 수 있었다. 이후 나는 도서관에서 혼자 공부하면서 검정고시 준비를 했고, 합격 기준이 낮아 통과하기 그다지 어렵지 않던 고등학교 졸업 학력 검정고시에 합격했다. 당시 도서관에서 공부하다가 지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