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상 수상작 읽기① 남녀 간 차별의 벽이 과거와 달라지는 가운데, 만화계도 성별유통구조 즉, 남성작가-여성작가, 남성독자-여성독자이라는 이분법이 허물어지고 있다. 그렇다면 만화작품 속 여성주의적 시각은 어느 정도 진일보했을까. 어느 정도 균질화됐을까. 2009년 지난 한 해 만화관련 기관과 단체에서 우수작품을 선정했다. ‘오늘의 우리만화상’, ‘부선만화대상’, ‘독자만화대상’ 등의 수상작들은 작품성과 대중성을 검증 받은 작품이다. 이들 작품을 대상으로 여성주의적 읽기를 시도해 본다. 스포일러 유의. ◇ 글 양우석, 그림 풍경 (문학세계, 2009) -‘2009 오늘의 우리만화상’, ‘2009 부선만화대상’ 웹툰상 수상작- ‘전설의 고향’이나 영화 등 대중매체를 통해 우리에게 익히 알려진 구미호 이야기는..
마음의 고통에 대해서 많이들 이야기합니다. 심리적 어려움에 대한 지식이 전달되면서 누군가는 자신의 고통을 이해하게 되었을 테고, 누군가는 변화와 회복의 기회를 얻었을 것입니다. 만약 이곳 저곳 몸이 아픈데 왜 아픈지 알지 못한다면 통증 앞에서 참으로 무기력하게 되지요. 마찬가지로 내 마음 안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해 알지 못한다면, 특히나 혼란스럽게 느껴지는 마음의 고통은 더 깊어질 우려가 있습니다. 심리장애 '아는 것이 힘', 의미가 정확히 사용되어야 예전에 교통사고로 심리적 후유증을 겪던 분을 만난 적이 있습니다. 그 분은 십 년 이상 여러 병원을 전전하면서 약을 먹었지만, 자기 삶이 왜 그리 변하게 되었는지 도무지 이해할 수 없다는 울분에 휩싸여있었습니다. 심리적 후유증에 대해 설명을 드리자, 그 분..